분류 전체보기
-
우리 몸의 면역체계science 2023. 5. 8. 00:35
면역계는 우리 몸의 항상성을 조절하고,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침입한 물질들을 방어하는 시스템을 이야기한다. 침입한 외부 물질들의 예를 들면,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바이러스나 일부 세균은 세포내에서 증식한다. virus는 숙주 세포 속으로 들어가서, 숙주의 복제,전사,번역 기구를 이용해 증식해야하기 때문이다. 그 외에 기생충, 균류, 원생생물, 세균 등은 세포 밖의 혈장이나 세포사이액 (체액)을 돌아다니며 증식한다. 우리 몸이 이러한 병원체들을 방어하는 방법으로는 세포성 방어와 체액성 방어가 있다. 세포성 방어는 면역세포들이 직접 표적과 만나서 방어를 하는 것이고, 체액성 방어는 면역세포가 분비한 물질들이 방어를 하는 방식이다. 병원체가 우리 몸으로 유입되면,면역계에..
-
뉴런과 신경전도 과정science 2022. 11. 20. 18:42
뉴런의 구조 - 뉴런은 크게 신경세포체와 수상돌기, 축삭돌기(축색돌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신경세포체에는 핵과 다양한 세포 소기관들이 존재합니다. - 수상돌기는 신경세포체에서 뻗어 나온 돌기들로 이루어졌으며, 다른 세포들로부터 정보를 받아, 수용기 전위를 발생시킵니다. - 축삭돌기는 주변 세포들로부터 받은 정보를 활동전위로 전환시켜서, 다른 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축삭돌기의 시작 지점에는 축삭둔덕이 있으며, 수초가 존재하고, 수초가 돌돌 감고 있는 사이사이 틈을 랑비에르 결절이라고 합니다. - 축삭돌기에 세포들이 돌돌 감고 있는 걸 수초라고 합니다. - 세포의 전기적 신호를 수상돌기로 받아서, 축삭기를 통해서 다음 세포로 전달하는 틈을 시냅스라고 합니다. - 축삭돌기의 말단에는 미토콘드..